안녕하세요 정보나라입니다.
일용직 근로자라도 한 사업장에서 계속 근무했다면 퇴직금을 지급해야 한다는 행정심판 결정이 나왔다고 합니다. 자세한 소식 알아보겠습니다.
일용직 퇴직금
국민권익위원회 중앙행정심판위원회는 지방고용노동청이 다음날 근로 여부가 확정되지 않았다며 일용직 근로자들의 퇴직금 등을 인정하지 않은 것은 잘못이라고 결정했다고 합니다.
한 회사는 대기업의 택배물류센터를 위탁 운영하던 회사로 지난해 10월 법원의 파산선고를 받았다고 합니다. 이에 그 회사의 일용직 근로자 400여명은 노동청에 체불 임금 및 퇴직금에 대한 진정을 제기하고 체당금 확인신청을 했다고 합니다.
그러나 노동청은 해당 근로자들이 출근 때마다 근로계약서를 새로 작성해 일당을 지급받았고 출근 여부도 작업 상황에 따라 결정되는 등 다음날 근로 여부가 확정되지 않았다며 근로자들의 체불 임금 및 퇴직금을 인정하지 않았다고 합니다.
중앙행정심판위원회는 일용직 근로자라도 최소한 1개월에 4~5일에서 15일 정도 계속 근무했다면 퇴직금을 지급받을 수 있는 근로자로 본다는 대법원의 판례를 참고했다고 합니다.
중앙행정심판위원회는 일용직 근로자들 중 상당수는 이 회사의 사업장에 월 15일 이상 고정적으로 출근하며 같은 사무를 반복했고 고용관계가 계속됨을 전제로 하는 주휴수당을 지급받은 점을 회사도 일용직 근로자들에 대한 퇴직적립금을 예산에 반영하고 계속 근무자들의 근태를 관리해온 점 등을 들어 일용직 근로자들의 계속 근무 등을 인정하고 퇴직금을인정하지 않은 노동처의 처분을 취소했다고 합니다. 또, 주휴수당 등 체불 임금에 대해서도 근로자들의 손을 들어주었다고 합니다.
이에 따라 이 회사의 일용직 근로자들은 진정을 제기하고 1년여 만에 실제 근무기간 등에 따라 최종 3개월분의 임금과 3년간의 퇴직금을 국가에 대신 지급받을 수 있게 되었다고 합니다.
자료 = 국민권익위원회
그럼 여기까지 일용직 퇴직금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
감사합니다.
'정부정책' 카테고리의 다른 글
국민연금 소득재평가·물가변동률 반영 (0) | 2022.01.15 |
---|---|
금연길라잡이 앱 알아보기 (0) | 2022.01.14 |
2022년 최저임금과 일자리 안정자금 신청기한 및 방법 (0) | 2022.01.13 |
맞춤형 임대주택 공급 지원대상과 선정기준 (0) | 2022.01.12 |
가상자산 상속·증여 시 새로운 평가방법 적용 (0) | 2022.01.10 |
댓글